[김대호의 경제읽기] 금융당국, 대출규제 추가 완화 검토…시장 전망은?<br /><br /><br />올해 부동산 시장의 경색 국면이 지속될 경우 정부가 추가적인 대출 규제 완화를 통해 돌파구를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주택자의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도 허용될 전망인데요.<br /><br />시장 영향은 어떨지 관련 내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금융위원회가 오는 3월 말부터 다주택자도 부동산 규제지역인 강남 3구와 용산 내에서 주택담보대출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전망입니다. 구체적으로 어떻게 완화될 예정인가요?<br /><br /> 금융당국이 규제 완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하려는 배경엔 지난해 12월부터 대출 규제를 푼 이후 시장 반응이 있습니다. 서울 지역에서 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늘어났다고요?<br /><br /> 다주택자 규제 완화가 '부자 지원', '부동산 경기 띄우기'라는 비판도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<br /><br /> 금융위원회는 부동산 시장 경색이 지속될 경우 대출 규제 추가 완화를 검토할 예정이라는데 어떤 카드가 더 나올 수 있을까요? 올해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전망하세요?<br /><br /> 서울시가 올해 대중교통 요금 인상과 함께 버스에 이동 거리가 10km를 초과할 때마다 요금을 부과하는 '거리비례 운임제' 도입을 추진합니다. 2004년 개편 이후 19년 만인데 현행 균일요금제와 비교했을 때 어떻게 달라지게 되는건가요?<br /><br /> 버스와 지하철 기본요금 인상이 예고된 만큼 거리 비례 운임제까지 한 번에 더해진다면 장거리 승객이 체감할 대중교통 요금 부담이 상당할 것 같은데 반발이 크지 않을까요? 물가 여파도 우려되는데 어떨까요?<br /><br />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시장의 예상을 깬 1월 노동시장 지표에 대해 "이렇게 강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았다"고 평가했습니다.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미국 인플레이션 완화에 대한 기대가 실리면서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언제 멈출지 관심이 높았는데요.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매파 인사들의 목소리에 다시 힘이 실리고 있는 만큼 당분간은 금리인상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